카테고리 없음

과연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의미 무얼까

알고있슈? 2018. 8. 21. 22:25


요즘은 개인정보보호때문에 주민번호를 쓰는 일이 거의 없어졌습니다. 어쩌면 다행이죠. 얼마 전에 친구와 이런 저런 이야기를 나누다가 서로의 번호를 비교해볼 기회가 있었는데요. 신기하게도 뒷자리 번호가 은근히 비스무리하더라고요.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의미가 있다는 것을 들은 적이 있었습니다. 


아시다시피 주민등록번호의 경우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총 13자리로 되어 있죠. 뭐 첫 번째 부분의 경우 생년월일로 되어 있다는 것을 모르시는 분들은 없으리라 생각됩니다. 하지만 뒷부분의 경우에도 나름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한번 알아보죠. 



뒷자리의 경우 7자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1의 경우 남자, 2의 경우 여자를 나타내는데요. 2000년대 출생자부터는 3의 경우 남자 4의 경우 여자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당연히 1800년대 태어난 분들의 경우 9와 0으로 남녀를 구분했다고 합니다. 저도 몰랐네요. 


다음 네개의 숫자가 지역코드인데요. 이 부분 때문에 친구와 저의 번호가 비슷한 것이었습니다. 바로 출생신고를 한 지역을 뜻합니다. 각 읍-면-동에 따라서 번호가 달라집니다. 다음의 경우 신고일에 몇 번째로 접수된 것인가를 나타냅니다. 보통 5를 넘지 않는 것이 많죠. 마지막 자리의 경우가 '검증번호'로 특정한 공식에 앞의 숫자를 대입해서 나오는 숫자라고 합니다.